바이에른 뮌헨 vs FC 쾰른 리그 12라운드 경기 일정
지구촌 모든 리그를 멈추게 했던 A매치 기간이 드디어 끝나고, 정규리그 기간이 돌아왔습니다. 바이에른 뮌헨은 A매치 기간 전후로 상대적으로 쉬운 팀과의 경기가 연이어 있어, 짧은 휴식 이후에 경기에 나설 각국 대표팀 멤버들에게는 약간의 다행스러운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A매치 기간 이전에 UEFA 챔피언스리그의 16강 진출을 확정 짓고, 리그에서도 선두의 자리를 공고히 해 둔 바이에른 뮌헨은 곧 리그 17위에 랭크되어 있는 FC 쾰른과의 경기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경기는 바이에른 뮌헨이 FC 쾰른의 홈그라운드인 쾰른까지 가서 치르는 원정 경기로, 홈 유니폼보다 더 잘 빠진 어웨이 유니폼으로 유명한 바이에른 뮌헨의 검정 유니폼을 볼 수 있을 예정입니다. 이번 경기 역시 김민재 선수가 선발로 출전할 것이 확실시되는 바이에른 뮌헨과 FC 쾰른의 12라운드 경기는 한국 시간 기준으로 2023년 11월 25일 오전 04시 30분에 FC쾰른의 홈구장인 라인에네르기슈타디온에서 진행됩니다. 대한민국의 토요일 새벽을 뜨겁게 달구어줄 바이에른 뮌헨의 경기, 전적과 전망 등에 대해 아래에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바이에른 뮌헨 vs FC 쾰른 리그 12라운드 전적 전망
바이에른 뮌헨과 FC 쾰른의 지난 2022-2023 시즌 두 번의 경기는 안타깝게도 홈에서 1:1 무승부, 원정에서 2:1 승리를 거두어, 결과면에서나 내용면에서 그다지 우세하다고는 볼 수가 없습니다. 지난 시즌 팀의 성적은 뮌헨이 1위, 쾰른이 11위로 격차가 컸지만, 무엇보다 지난 시즌에는 뮌헨에 확실한 골 게터가 부족했습니다. 리버풀로부터 이적하면서 기대를 받고 있던 사디오 마네는 정작 필요할 땐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심지어 팀동료들과 불화도 일으키며 팀 분위기에 악영향을 주곤 했고, 팀 승리에 도움이 되었던 리로이 자네나 토마스 뮐러, 자말 무시알라 같은 선수들도 기복이 있어 시즌 내내 팀 분위기 자체가 불안했습니다. 한 마디로, 기복 없는 득점원이 없었다는 것이 뮌헨의 문젯거리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시즌 바이에른 뮌헨은 확실한 득점원을 영입합니다. 해리케인이라는, 리그 우승컵에 목말라 있고 다양한 위치에서 역할 수행이 가능하며 기복 없이 득점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아는 선수를 영입했습니다. 그리고 해리케인은 초반에 팀원들과 소통 문제가 있다는 루머가 있긴 했지만, 기복 없이 골을 잘 뽑아내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어떤 팀에 있어서도 큰 재산이 됩니다. 따라서 이번 시즌의 쾰른과의 경기는, 특히 현재 리그 거의 최 하위를 달리고 있는 쾰른과의 경기는 지난 시즌의 양상과는 크게 다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바이에른 뮌헨 vs FC 쾰른 리그 12라운드 김민재, 생중계
뮌헨의 경우 지난 하이덴하임과의 11라운드 경기에서 4:2 승리를 기록하긴 했지만, 얼마 전부터 문제로 제기되곤 했던 김민재의 '기복'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르는 경기가 되었습니다. 하이덴하임이 만들어냈던 두 번의 골이 모두 김민재와 연결이 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김민재 선수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때, 지난 2023년 8월 19일 개막전부터 시작해 11라운드까지 리그는 물론이고 UEFA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조차 단 한 경기도 쉬지 않고 달려온 김민재의 컨디션이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또 팀의 주축 센터백에게 휴식을 줄 수 없는 상황에 관한 문제는 곧 뮌헨의 센터벡 부족 문제와 직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구단에서도 얇은 선수층으로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성과를 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뮌헨이 작정하고 두 마리 토끼를 노리는 것이라면 다가오는 겨울 이적 시장에서 센터백 보충 문제가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바이에른 뮌헨과 FC쾰른의 생중계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분데스리가 경기에 대한 대한민국 중계권은 CJ ENM에서 소유하고 있으므로 CJ ENM 소속 스포츠 전문 채널인 tvN 스포츠, 그리고 OTT 서비스인 티빙을 통해 생중계는 물론 재방송이나 다시 보기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우선, tvN 스포츠의 경우는 IPTV를 통해 무료 시청하거나 개별 결제를 통해 유료 시청이 가능하며 채널 번호는 KT 77번, LG 81번, SK 978번, 그리고 스카이라이프는 220번에 배정되어 있습니다. CJ ENM 소속 OTT 서비스인 티빙은 전면 유료 결제를 통해서만 시청이 가능하며 요금제로는 베이직(7,900원), 스탠더드(10,900원), 그리고 프리미엄(23,900원) 요금제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